2025년 10월 17일 금요일

수송기술_7.1. 강의록(25.10.17)


1. 공지사항


1) 중간고사 관련 

  • 11월 초(11월 7일 금요일 예정)
  • 시험범위 : 4.1절까지
  • 진도 못나갈 경우 ZOOM 활용 보강
  • 시험 문제 : 3장, 4장 변형(3, 4장 중 로그/자연로그 나오는 문항 제외)

2) 9주차(25.10.31) --> 휴보강 예정 


수송기술_7.1. 강의록(25.10.17)


1. 공지사항


1) 중간고사 관련 

  • 11월 초(11월 7일 금요일 예정)
  • 시험범위 : 4.1절까지
  • 진도 못나갈 경우 ZOOM 활용 보강
  • 시험 문제 : 3장, 4장 변형(3, 4장 중 로그/자연로그 나오는 문항 제외)

2) 9주차(25.10.31) --> 휴보강 예정 


2025년 10월 16일 목요일

2010년 9급 국가직 기계일반 문제

문 1. 길이가 3 m, 단면적이 0.01 m2인 원형 봉이 인장하중 100 kN을 받을 때 봉이 늘어난 길이 [m]는? (단, 봉의 영계수(Young's Modulus) E = 300 GPa이다)

① 1 × 10-7
② 0.001
③ 0.002
④ 0.0001

문 2. 펀치(punch)와 다이(die)를 이용하여 판금재료로부터 제품의 외형을 따내는 작업은?

① 블랭킹(blanking)
② 피어싱(piercing)
③ 트리밍(trimming)
④ 플랜징(flanging)

문 3. 지름이 50 mm인 공작물을 절삭속도 314 m/min으로 선반에서 절삭할 때, 필요한 주축의 회전수 [rpm]는? (단, π는 3.14로 계산하고, 결과 값은 일의 자리에서 반올림한다)

① 1,000
② 2,000
③ 3,000
④ 4,000

문 4. 측정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버어니어 캘리퍼스가 마이크로미터보다 측정정밀도가 높다.
② 사인 바(sine bar)는 공작물의 내경을 측정한다.
③ 다이얼 게이지(dial gage)는 각도 측정기이다.
④ 스트레이트 에지(straight edge)는 평면도의 측정에 사용된다.

문 5. 브레이크 블록이 확장되면서 원통형 회전체의 내부에 접촉하여 제동되는 브레이크는?

① 블록 브레이크
② 밴드 브레이크
③ 드럼 브레이크
④ 원판 브레이크

문 6. 컴퓨터에 의한 통합 제조라는 의미로 제조 부문, 기술 부문 등의 제조 시스템과 경영 시스템을 통합 운영하는 생산시스템의 용어로 옳은 것은?

① CAM(computer aided manufacturing)
② FMS(flexible manufacturing system)
③ CIM(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④ FA(factory automation)

문 7. 다음 중 큰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는 기계요소 순으로 나열된 것은?

① 안장 키 > 경사 키 > 스플라인 > 평 키
② 스플라인 > 경사 키 > 평 키 > 안장 키
③ 안장 키 > 평 키 > 경사 키 > 스플라인
④ 스플라인 > 평 키 > 경사 키 > 안장 키

문 8. 스프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병렬 연결의 경우 스프링 상수는 커진다.
② 직렬 연결의 경우 스프링 상수는 작아진다.
③ 같은 하중에서 처짐이 커지면 스프링 상수는 작아진다.
④ 선형 스프링의 경우 하중이 한 일은 처짐과 스프링 상수의 곱과 같다.

문 9. 유압 작동유의 점도가 지나치게 높을 때 발생하는 현상이 아닌 것은?

① 기기류의 작동이 불활성이 된다.
② 압력유지가 곤란하게 된다.
③ 유동저항이 커져 에너지 손실이 증대한다.
④ 유압유 내부 마찰이 증대하고 온도가 상승된다.

문 10. 가솔린기관과 디젤기관에 대한 비교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가솔린기관은 압축비가 디젤기관보다 일반적으로 크다.
② 디젤기관은 혼합기 형성에서 공기만 압축한 후 연료를 분사한다.
③ 열효율은 디젤기관이 가솔린기관보다 상대적으로 크다.
④ 디젤기관이 저속 성능이 좋고 회전력도 우수하다.

문 11. 일반적으로 큰 하중을 받거나 고속회전을 하는 축에 사용되는 합금의 성분이 아닌 것은?

① 베릴륨
② 니켈
③ 몰리브덴
④ 크롬

문 12. 연강용 아크 용접봉에서 그 규격을 나타낼 때, E4301에서 43이 의미하는 것은?

① 피복제의 종류
② 용착 금속의 최저 인장강도
③ 용접 자세
④ 아크 용접시의 사용 전류

문 13. 열영향부(HAZ)를 가장 좁게 할 수 있는 용접은?

① 마찰 용접
② TIG 용접
③ MIG 용접
④ 서브머지드 용접

문 14. 홈이 깊게 가공되어 축의 강도가 약해지는 결점이 있으나 가공하기 쉽고, 60 mm 이하의 작은 축에 사용되며, 특히 테이퍼 축에 사용하면 편리한 키는?

① 평행 키
② 경사 키
③ 반달 키
④ 평 키

문 15. 강의 열처리에서 생기는 조직 중 가장 경도가 높은 것은?

① 펄라이트(pearlite)
② 소르바이트(sorbite)
③ 마르텐사이트(martensite)
④ 트루스타이트(troostite)

문 16. 철판에 전류를 통전하며 외력을 이용하여 용접하는 방법은?

① 마찰 용접
② 플래쉬 용접
③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
④ 전자 빔 용접

문 17. 소성변형의 전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전위의 움직임에 따른 소성변형 과정이 슬립이다.
② 슬립은 결정면의 연속성을 파괴한다.
③ 전위의 움직임을 방해할수록 재료는 경도와 강도가 증가한다.
④ 혼합전위는 쌍정과 나사전위가 혼합된 전위를 말한다.

문 18. 금속의 파괴 현상 중 하나인 크리프(creep)현상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한 것은?

① 응력이 증가하여 재료의 항복점을 지났을 때 일어나는 파괴 현상
② 반복응력이 장시간 가해졌을 때 일어나는 파괴 현상
③ 응력과 온도가 일정한 상태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형이 연속적으로 진행되는 현상
④ 균열이 진전되어 소성변형 없이 빠르게 파괴되는 현상

문 19. 원통 코일 스프링의 스프링 상수 k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유효감김 수 n에 반비례한다.
② 소선의 전단 탄성계수 G에 비례한다.
③ 소선의 지름 d의 네제곱에 비례한다.
④ 스프링의 평균 지름 D의 제곱에 비례한다.

문 20. 절삭가공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경질재료일수록 절삭저항이 감소하여 표면조도가 양호하다.
② 절삭깊이를 감소시키면 구성인선이 감소하여 표면조도가 양호하다.
③ 절삭속도를 증가시키면 절삭저항이 증가하여 표면조도가 불량하다.
④ 절삭속도를 감소시키면 구성인선이 감소하여 표면조도가 양호하다.

2009년 9급 지방직 기계일반 문제

문 1. 다음 중 상온에서 소성변형을 일으킨 후에 열을 가하면 원래의 모양으로 돌아가는 성질을 가진 재료는?

① 비정질합금
② 내열금속
③ 초소성재료
④ 형상기억합금

문 2. 순철은 상온에서 체심입방격자이지만 912 °C 이상에서는 면심입방격자로 변하는데 이와 같은 철의 변태는?

① 자기변태
② 동소변태
③ 변태점
④ 공석변태

문 3. 다음 중 비소모성전극 아크용접에 해당하는 것은?

① 가스텅스텐아크 용접(GTAW) 또는 TIG 용접
② 서브머지드아크 용접(SAW)
③ 가스금속아크 용접(GMAW) 또는 MIG 용접
④ 피복금속아크 용접(SMAW)

문 4. 연삭가공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숫돌의 3대 구성요소는 연삭입자, 결합제, 기공이다.
② 마모된 숫돌면의 입자를 제거함으로써 연삭능력을 회복시키는 작업을 드레싱(dressing)이라 한다.
③ 숫돌의 형상을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시키는 작업을 로우딩(loading)이라 한다.
④ 연삭비는 (연삭에 의해 제거된 소재의 체적) / (숫돌의 마모 체적)으로 정의된다.

문 5. 다음 중 기계재료가 갖추어야 할 일반적 성질과 관계가 먼 것은?

① 힘을 전달하는 기구학적 특성
② 주조성, 용접성, 절삭성 등의 가공성
③ 적정한 가격과 구입의 용이성 등의 경제성
④ 내마멸성, 내식성, 내열성 등의 물리화학적 특성

문 6. 다음 중 구름 베어링이 미끄럼 베어링보다 좋은 이유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표준화된 규격제품이 많아 교환성이 좋다.
② 베어링의 너비를 작게 제작할 수 있어 기계의 소형화가 가능하다.
③ 동력 손실이 적다.
④ 큰 하중이 작용하는 기계장치에 사용되며 설치와 조립이 쉽다.

문 7. 다음은 도면상에서 나사 가공을 지시한 예이다. 각 기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4 - M8 × 1.25

① 4는 나사의 등급을 나타낸 것이다.
② M은 나사의 종류를 나타낸 것이다.
③ 8은 나사의 호칭지름을 나타낸 것이다.
④ 1.25는 나사의 피치를 나타낸 것이다.

문 8. 다음 중 축의 위험속도와 가장 관련이 깊은 것은?

① 축에 작용하는 최대 비틀림모멘트
② 축 베어링이 견딜 수 있는 최고회전속도
③ 축의 고유진동수
④ 축에 작용하는 최대 굽힘모멘트

문 9. 다음 중 구성인선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노력으로 적절한 것은?

① 바이트의 윗면 경사각을 작게 한다.
② 윤활성이 높은 절삭제를 사용한다.
③ 절삭깊이를 크게 한다.
④ 절삭속도를 느리게 한다.

문 10. 수치제어(NC : numerical control) 프로그램에 포함되지 않는 가공정보는?

① 공구 오프셋(offset) 량
② 절삭속도
③ 절삭 소요시간
④ 절삭유제 공급여부

문 11. 스프링 상수가 200 [N/mm]인 접시 스프링 8개를 아래 그림과 같이 겹쳐 놓았다. 여기에 200 [N]의 압축력(F)을 가한다면 스프링의 전체 압축량 [mm]은?


① 0.125
② 1.0
③ 2.0
④ 8.0

문 12. 인베스트먼트 주조(investment casting)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제작공정이 단순하여 비교적 저비용의 주조법이다.
② 패턴을 내열재로 코팅한다.
③ 패턴은 왁스, 파라핀 등과 같이 열을 가하면 녹는 재료로 만든다.
④ 복잡하고 세밀한 제품을 주조할 수 있다.

문 13. 유압장치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유량의 조절을 통해 무단 변속 운전을 할 수 있다.
② 파스칼의 원리에 따라 작은 힘으로 큰 힘을 얻을 수 있는 장치제작이 가능하다.
③ 유압유의 온도 변화에 따라 액추에이터의 출력과 속도가 변화되기 쉽다.
④ 공압에 비해 입력에 대한 출력의 응답속도가 떨어진다.

문 14. 지름이 d이고 길이가 L인 전동축이 있다. 비틀림모멘트에 의해 발생된 비틀림각이 θ라고 할 때 이 축의 비틀림각을 θ/2로 줄이고자 한다면 축의 지름을 얼마로 변경해야 하겠는가?

① √2 d
② d
③ √½ d
④ ½ d

문 15. 원심펌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비속도를 성능이나 적합한 회전수를 결정하는 지표로 사용할 수 있다.
② 펌프의 회전수를 높임으로서 캐비테이션을 방지할 수 있다.
③ 송출량 및 압력이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현상을 서징현상이라 한다.
④ 평형공(balance hole)을 이용하여 축추력을 방지할 수 있다.

문 16. 탄성체의 고유진동수를 높이고자 한다면 다음 중 어떤 변수를 낮추어야 하는가?

① 외력
② 질량
③ 강성
④ 운동량

문 17. 원통 코일 스프링의 스프링 상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코일스프링의 권선수에 반비례한다.
② 코일을 감는데 사용한 소선의 탄성계수에 비례한다.
③ 코일을 감는데 사용한 소선 지름의 네제곱에 비례한다.
④ 코일스프링 평균지름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문 18. 다이캐스팅(die casting)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주물조직이 치밀하며 강도가 크다.
② 일반 주물에 비해 치수가 정밀하지만, 장치비용이 비싼 편이다.
③ 소량생산에 적합하다.
④ 기계용량의 표시는 가압유지 체결력과 관계가 있다.

문 19. 산소 - 아세틸렌 용접법(OFW)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화염크기를 쉽게 조절할 수 있다.
② 산화염, 환원염, 중성염 등의 다양한 종류의 화염을 얻을 수 있다.
③ 일반적으로 열원의 온도가 아크 용접에 비하여 높다.
④ 열원의 집중도가 낮아 열변형이 큰 편이다.

문 20. 경도측정에 사용되는 원리가 아닌 것은?

① 물체의 표면에 압입자를 충돌시킨 후 압입자가 반동되는 높이 측정
② 일정한 각도로 들어 올린 진자를 자유낙하시켜 물체와 충돌시킨 뒤 충돌전후 진자의 위치에너지 차이 측정
③ 일정한 하중으로 물체의 표면을 압입한 후 발생된 압입자국의 크기 측정
④ 물체를 표준 시편으로 긁어서 어느 쪽에 긁힌 흔적이 발생하는지를 관찰

2009년 9급 국가직 기계일반 문제

문 1. 탄소강(SM30C)을 냉간가공하면 일반적으로 감소되는 기계적 성질은?

① 연신율
② 경도
③ 항복점
④ 인장강도

문 2. Fe - C 평형상태도에 표시된 S, C, J 점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포정점 공정점 공석점
② 공정점 공석점 포정점
③ 공석점 공정점 포정점
④ 공정점 포정점 공석점

문 3. 철강에 포함된 탄소 함유량의 영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탄소량이 증가하면 연신율이 감소한다.
② 탄소량이 감소하면 경도가 증가한다.
③ 탄소량이 감소하면 내식성이 증가한다.
④ 탄소량이 증가하면 단면수축률이 감소한다.

문 4. 탄소강 판재로 이음매가 없는 국그릇 모양의 몸체를 만드는 가공법은?

① 스피닝
② 컬링
③ 비딩
④ 플랜징

문 5. 속이 찬 봉재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이음매가 없는 긴 강관(鋼管)을 제조하는 방법은?

① 프레스가공
② 전조가공
③ 만네스맨가공
④ 드로잉가공

문 6. 다음 중 정밀 입자가공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호빙(hobbing)
② 래핑(lapping)
③ 슈퍼 피니싱(super finishing)
④ 호닝(honing)

문 7. 허용할 수 있는 부품의 오차 정도를 결정한 후 각각 최대 및 최소 치수를 설정하여 부품의 치수가 그 범위 내에 드는지를 검사하는 게이지는?

① 블록 게이지
② 한계 게이지
③ 간극 게이지
④ 다이얼 게이지

문 8. 가솔린 기관의 노크 현상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공기-연료 혼합기가 어느 온도 이상 가열되어 점화하지 않아도 연소하기 시작하는 현상
② 흡입공기의 압력을 높여 기관의 출력을 증가시키는 현상
③ 가솔린과 공기의 혼합비를 조절하여 혼합기를 발생시키는 현상
④ 연소 후반에 미연소가스의 급격한 연소에 의한 충격파로 실린더 내 금속을 타격하는 현상

문 9. 리벳작업에서 코킹을 하는 목적으로 가장 옳은 것은?

① 패킹재료를 삽입하기 위해
② 파손재료를 수리하기 위해
③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④ 기밀을 유지하기 위해

문 10. 다음 중에서 탄소강의 표면경화 열처리법이 아닌 것은?

① 어닐링법
② 질화법
③ 침탄법
④ 고주파경화법

문 11. 다음 용접의 방법 중 고상용접이 아닌 것은?

① 확산용접(diffusion welding)
② 초음파용접(ultrasonic welding)
③ 일렉트로슬래그용접(electroslag welding)
④ 마찰용접(friction welding)

문 12. 다음 기계 가공 중에서 표면거칠기가 가장 우수한 것은?

① 내면연삭가공
② 래핑가공
③ 평면연삭가공
④ 호닝가공

문 13. 그림과 같이 지름이 d1에서 d2로 변하는 축에 인장력 P가 작용하고 있다. 직경비가 d1 : d2 = 1 : 2일 때 두 단면에서 발생하는 인장응력의 비인 σ1 : σ2는?


① 1 : 2
② 1 : 4
③ 2 : 1
④ 4 : 1

문 14. 3줄 나사에서 수나사를 고정하고 암나사를 1회전시켰을 때 암나사가 이동한 거리는?

① 나사 피치의 1/3배
② 나사 리드의 1/3배
③ 나사 피치의 3배
④ 나사 리드의 3배

문 15. 연삭숫돌에 눈메움이나 무딤이 발생하였을 때 이를 제거하기 위한 방법으로 가장 옳은 것은?

① 드레싱(dressing)
② 폴리싱(polishing)
③ 연삭액의 교환
④ 연삭속도의 변경

문 16. SM35C, SC350으로 표현된 재료규격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SM35C에서 SM은 기계구조용 탄소강재라는 것이다.
② SM35C에서 35C는 탄소함유량이 3.5 %라는 것이다.
③ SC350에서 SC는 탄소강 주강품이라는 것이다.
④ SC350에서 350은 인장강도 350 N/mm2 이상을 나타낸다.

문 17. 제품과 같은 모양의 모형을 양초나 합성수지로 만든 후 내화재료로 도포하여 가열경화시키는 주조 방법은?

① 셸몰드법
② 다이캐스팅
③ 원심주조법
④ 인베스트먼트 주조법

문 18. 절삭가공에서 공구 수명을 판정하는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공구날의 마모가 일정량에 달했을 때
② 절삭저항이 절삭개시 때와 비교해 급격히 증가하였을 때
③ 절삭가공 직후 가공표면에 반점이 나타날 때
④ 가공물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될 때

문 19. 사각나사의 축방향 하중이 Q, 마찰각이 φ, 리드각이 λ일 때 사각나사가 저절로 풀리는 조건은?

① tan(λ+φ) < 1
② tan(λ-φ) > 1
③ tan(λ+φ) > 1
④ tan(λ-φ) < 1

문 20. 직각인 두 축 간에 운동을 전달하고, 잇수가 같은 한 쌍의 원추형 기어는?

① 스퍼어기어
② 마이터기어
③ 나사기어
④ 헬리컬기어

2008년 9급 국가직 기계일반 문제

문 1. 성크키(묻힘키, sunk key)에 의한 축이음에서 축의 외주에 작용하는 접선력이 1 N일 때 키(key)에 작용하는 전단응력 [N/m2]은? (단, 키의 치수는 10 mm × 8 mm × 100 mm이다)

① 1000
② 1250
③ 2000
④ 2500

문 2. 선반을 이용하여 지름이 50 mm인 공작물을 절삭속도 196 m/min로 절삭할 때 필요한 주축의 회전수 [rpm]는? (단, π는 3.14로 계산하고, 결과 값은 일의 자리에서 반올림 한다)

① 1000
② 1250
③ 3120
④ 3920

문 3. 다음 중 원심식 펌프에 해당하는 것만으로 묶은 것은?

① 피스톤 펌프, 플런저 펌프
② 벌류트 펌프, 터빈 펌프
③ 기어 펌프, 베인 펌프
④ 마찰 펌프, 제트 펌프

문 4. 캠의 압력각을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 적절한 것은?

① 기초원의 직경을 증가시키고 종동절의 상승량을 증가시킨다.
② 기초원의 직경을 감소시키고 종동절의 상승량을 감소시킨다.
③ 기초원의 직경을 증가시키고 종동절의 상승량을 감소시킨다.
④ 기초원의 직경을 감소시키고 종동절의 상승량을 증가시킨다.

문 5. 연마제를 압축 공기를 이용하여 노즐로 고속 분사시켜 고운 다듬질면을 얻는 가공법은?

① 액체 호닝
② 래핑
③ 호닝
④ 슈퍼피니싱

문 6. 침탄법과 질화법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침탄법은 질화법에 비해 같은 깊이의 표면 경화를 짧은 시간에 할 수 있다.
② 질화법은 침탄법에 비해 변형이 적다.
③ 질화법은 침탄법에 비해 경화층은 얇으나 경도가 높다.
④ 질화법은 질화 후 열처리가 필요하다.

문 7. 다음 중 볼나사(ball screw)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마찰계수가 극히 작아서 정확한 미세이송이 가능하다.
② 윤활은 아주 소량으로도 가능하다.
③ 축 방향의 백래시를 작게 할 수 있다.
④ 미끄럼 나사보다 전달 효율이 상대적으로 낮다.

문 8. 단면이 원형이고 직경이 d인 막대의 길이(축)방향으로 인장하중이 작용하여 막대에 인장응력 σ가 생겼다면 이 때 직경의 감소량을 나타내는 식은? (단, ν는 포아송의 비(Poisson's ratio)이고, G는 전단탄성계수(shear modulus)이고, E는 영의 계수(Young's modulus)이다)

νdG/σ
νσG/d
νσd/E
νσE/d

문 9. 승용차의 엔진에 설치된 EGR(Exhaust Gas Recirculation) 장치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① 흡기계통으로 배기가스의 일부를 재순환시켜 연소할 때의 최고 온도를 낮춤으로써 CO2의 발생을 억제하는 장치이다.
② 흡기계통으로 배기가스의 일부를 재순환시켜 연소할 때의 최고 온도를 낮춤으로써 NOx의 발생을 억제하는 장치이다.
③ 촉매장치로 배기가스를 재순환시켜 CO와 HC의 함유량을 더 감소시키는 장치이다.
④ 흡기계통으로 배기가스의 일부를 재순환시켜 미연소된 배기가스를 재연소시켜 공해물질의 발생을 억제하는 장치이다.

문 10. 다음 중 응고 반응이 아닌 것은?

① 공석 반응
② 포정 반응
③ 편정 반응
④ 공정 반응

문 11. 다이아몬드 다음으로 경한 재료로 철계금속이나 내열합금의 절삭에 적합한 것은?

① 세라믹(ceramic)
② 초경합금(carbide)
③ 입방정 질화 붕소(CBN, cubic boron nitride)
④ 고속도강(HSS, high speed steel)

문 12. 사형 주조에서 응고 중에 수축으로 인한 용탕의 부족분을 보충하는 곳은?

① 게이트
② 라이저
③ 탕구
④ 탕도

문 13. 두 축이 평행할 때 회전을 전달하는 기어는?

① 베벨 기어
② 스퍼 기어
③ 웜 기어
④ 하이포이드 기어

문 14. 스프링 상수가 같은 2개의 코일스프링을 각각 직렬과 병렬로 연결하였다. 직렬로 연결한 시스템의 상당(등가) 스프링 상수는 병렬로 연결한 시스템의 상당(등가) 스프링 상수의 몇 배 크기인가?

① 1/4배
② 1/2배
③ 2배
④ 4배

문 15. 다음 재료시험 방법 중에서 전단응력을 측정하기 위한 시험법은?

① 인장시험(tensile test)
② 굽힘시험(bending test)
③ 충격시험(impact test)
④ 비틀림시험(torsion test)

문 16. 다음 용접법 중에서 압접법(pressure welding)에 해당하는 것만을 올바르게 묶은 것은?

① 시임용접, 마찰용접, 아크용접
② 마찰용접, 전자빔용접, 점용접
③ 점용접, 레이저용접, 확산용접
④ 마찰용접, 점용접, 시임용접

문 17. 방전가공(EDM)과 전해가공(ECM)에 사용하는 가공액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모두 도체의 가공액을 사용한다.
② 모두 부도체의 가공액을 사용한다.
③ 방전가공은 부도체, 전해가공은 도체의 가공액을 사용한다.
④ 방전가공은 도체, 전해가공은 부도체의 가공액을 사용한다.

문 18. 유압회로에서 회로 내 압력이 설정치 이상이 되면 그 압력에 의하여 밸브를 전개하여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는 밸브는?

① 시퀀스 밸브
② 유량제어 밸브
③ 릴리프 밸브
④ 감압 밸브

문 19. 마그네슘의 특징이 아닌 것은?

① 비중이 알루미늄보다 크다.
② 조밀육방격자이며 고온에서 발화하기 쉽다.
③ 대기 중에서 내식성이 양호하나 산 및 바닷물에 침식되기 쉽다.
④ 알카리성에 거의 부식되지 않는다.

문 20. 2사이클 기관과 비교할 때 4사이클 기관의 장점으로 옳은 것은?

① 매회전마다 폭발하므로 동일 배기량일 경우 출력이 2사이클 기관보다 크다.
② 마력당 기관중량이 가볍고 밸브기구가 필요 없어 구조가 간단하다.
③ 회전력이 균일하다.
④ 체적효율이 높다.

2007년 9급 국가직 기계일반 문제

문 1. 강의 탄소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나타나는 특성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인장강도가 증가한다.
② 항복점이 증가한다.
③ 경도가 증가한다.
④ 충격치가 증가한다.

문 2. 회주철의 기호로 GC300과 같이 표시할 때 300이 의미하는 것은?

① 항복강도(N/mm2)
② 인장강도(N/mm2)
③ 굽힘강도(N/mm2)
④ 전단강도(N/mm2)

문 3. 금속 재료의 기계적 성질과 그것을 평가하기 위한 시험을 서로 짝지은 것 중 적합하지 않은 것은?

① 종탄성계수 - 인장시험
② 피로한도 - 압축시험
③ 전단항복응력 - 비틀림시험
④ 경도 - 압입시험

문 4. 유압장치의 일반적인 특징이 아닌 것은?

① 힘의 증폭이 용이하다.
② 제어하기 쉽고 정확하다.
③ 작동 액체로는 오일이나 물 등이 사용된다.
④ 구조가 복잡하여 원격조작이 어렵다.

문 5. 일반적으로 베어링은 내륜, 외륜, 볼(롤러), 리테이너의 4 가지 주요 요소로 구성된다. 다음 중에서 볼 또는 롤러를 사용하지 않는 베어링은 어느 것인가?

① 공기정압 베어링
② 레이디얼 베어링
③ 스러스트 롤러베어링
④ 레이디얼 롤러베어링

문 6. 다음 중 인성(toughness)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국부 소성 변형에 대한 재료의 저항성
② 파괴가 일어나기까지의 재료의 에너지 흡수력
③ 탄성변형에 따른 에너지 흡수력과 하중 제거에 따른 이 에너지의 회복력
④ 파괴가 일어날 때까지의 소성 변형의 정도

문 7. 다음 중 짧은 거리를 운동하며 큰 힘을 내는 운동기구는?

① 와트 기구(Watt's mechanism)
② 스코치 요크 기구(Scotch-Yoke mechanism)
③ 토글 기구(toggle mechanism)
④ 팬토그래프(pantograph)

문 8. 기계요소를 설계할 때, 응력집중 및 응력집중계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응력집중이란 단면이 급격히 변화하는 부위에서 힘의 흐름이 심하게 변화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현상이다.
② 응력집중계수는 단면부의 평균응력에 대한 최대응력의 비율이다.
③ 응력집중계수는 탄성영역 내에서 부품의 형상효과와 재질이 모두 고려된 것으로 형상이 같더라도 재질이 다르면 그 값이 다르다.
④ 응력집중을 완화하려면 단이 진 부분의 곡률 반지름을 크게 하거나 단면이 완만하게 변화하도록 한다.

문 9. 가솔린 기관의 연료에서 옥탄가(octane number)는 무엇과 관계가 있으며, '옥탄가 90'에서 90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① 연료의 발열량, 정헵탄 체적 (%)
② 연료의 발열량, 이소옥탄 체적 (%)
③ 연료의 내폭성, 정헵탄 체적 (%)
④ 연료의 내폭성, 이소옥탄 체적 (%)

문 10. 다음은 어떤 주조법의 특징을 설명한 것인가?

∘ 영구주형을 사용한다.
∘ 비철금속의 주조에 적용한다.
∘ 고온챔버식과 저온챔버식으로 나뉜다.
∘ 용융금속이 응고될 때까지 압력을 가한다.

① 스퀴즈 캐스팅(squeeze casting)
② 원심 주조법(centrifugal casting)
③ 다이 캐스팅(die casting)
④ 인베스트먼트 주조법(investment casting)

문 11. 나사산의 각도가 55°인 나사는?

① 관용나사
② 미터보통나사
③ 미터계(TM) 사다리꼴나사
④ 인치계(TW) 사다리꼴나사

문 12. 금속재료를 냉간 소성가공하여 부품을 생산할 때, 소재에서 일어나는 변화가 아닌 것은?

① 결정립의 변형으로 인한 단류선(grain flow line) 형성
② 전위의 집적으로 인한 가공경화
③ 불균질한 응력을 받음으로 인한 잔류응력의 발생
④ 풀림효과에 의한 연성의 증대

문 13. 공작물을 별도의 고정 장치로 지지하지 않고 그 대신에 받침판을 사용하여 원통면을 연속적으로 연삭하는 공정은?

① 크립 피드 연삭(creep feed grinding)
② 센터리스 연삭(centerless grinding)
③ 원통 연삭(cylindrical grinding)
④ 전해 연삭(electrochemical grinding)

문 14. 다음은 사출성형품의 불량 원인과 대책에 관한 설명이다. 어떤 현상을 설명한 것인가?

금형의 파팅 라인(parting line)이나 이젝터 핀(ejector pin) 등의 틈에서 흘러 나와 고화 또는 경화된 얇은 조각 모양의 수지가 생기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금형 자체의 밀착성을 좋게 하도록 체결력을 높여야 한다.

① 플로 마크(flow mark) 현상
② 싱크 마크(sink mark) 현상
③ 웰드 마크(weld mark) 현상
④ 플래시(flash) 현상

문 15. 다음 중 연성파괴와 관련이 없는 것은?

① 컵-원뿔 파괴(cup and cone fracture)
② 소성변형이 상당히 일어난 후에 파괴됨
③ 균열이 매우 빠르게 진전하여 일어남
④ 취성파괴에 비해 덜 위험함

문 16. 한줄 겹치기 리벳 이음에서 리벳 구멍 사이가 절단될 때(강판의 인장 파단)의 리벳 이음 강도 P는? (단, p는 리벳의 피치, d는 리벳의 지름, t는 강판의 두께, e는 리벳의 중심에서 강판의 가장자리까지의 거리, τ는 리벳의 전단응력, σt는 강판의 인장응력, σc는 강판 또는 리벳의 압축응력이다)

① P = (π/4)d2τ
② P = 2etτ
③ P = (p - d)tσt
④ P = dtσc

문 17. 다음 중에서 불활성 가스 아크 용접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아르곤, 헬륨 등과 같이 고온에서도 금속과 반응하지 않는 불활성 가스를 차폐가스로 하여 대기로부터 아크와 용융금속을 보호하며 행하는 아크 용접이다.
② 비소모성 텅스텐 봉을 전극으로 사용하고 별도의 용가재를 사용하는 MIG용접(불활성 가스 금속 아크 용접)이 대표적이다.
③ 불활성 가스는 용접봉 지지기 내를 통과시켜 용접물에 분출시키며 보통의 아크 용접법보다 생산비가 고가이다.
④ 용접부가 불활성 가스로 보호되어 용가재 합금 성분의 용착효율은 거의 100 %에 가깝다.

문 18. 절삭가공의 기본 운동에는 주절삭운동, 이송운동, 위치조정운동이 있다. 다음 중 주로 공작물에 의해 이송운동이 이루어지는 공작기계끼리 짝지어진 것은?

① 선반, 밀링머신
② 밀링머신, 평면연삭기
③ 드릴링머신, 평면연삭기
④ 선반, 드릴링머신

문 19. 환경 경영 체제에 관한 국제 표준화 규격의 통칭으로, 기업 활동 전반에 걸친 환경 경영 체제를 평가하여 객관적으로 인증(認證)하는 것은 무엇인가?

① ISO 14000
② ISO 9004
③ ISO 9000
④ ISO 8402

문 20. 기계의 안전설계에 대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안전도를 크게 하면 경제성이 저하된다.
② 허용응력에 대한 기준강도를 안전계수라 한다.
③ 허용응력이란 부품 설계 시 사용하는 응력의 최대 허용치로서 기준강도보다 작아야 한다.
④ 취성재료가 상온에서 정하중을 받을 때 항복점을 고려한다.